ROUTINE – 반응표면방법 논문작성
ROUTINES Days Hours Minutes Seconds
DATA SCIENCE – 반응표면방법 논문작성
DATA SCIENCE Days Hours Minutes Seconds
가상 딸기 데이터셋

데이터셋 가상 딸기 데이터셋 한우 데이터셋 초등학생의 수학적창의력 데이터셋 DATASET 변수명 단위 변수정의 데이터종류 요소 계열 딸기 딸기 ID 품종 출하월 저온숙성 당도 저온숙성 후 당도 과중 등급 저온숙성 후 등급 1 1 12 1 12.13 12.32 24.51 1 1 2 2 1 1 10.13 10.25 19.76 3 3 3 1 2 1 10.48 10.62 […]
초등학생의 수학적 창의력

프로그램 모수 가설검정 논문작성 CODE DATASET 비모수 가설검정 논문작성 CODE DATASET 데이터셋 프로젝트 데이터셋 P3-저자데이터 구글시트 P3-1-project-data 구글시트 P3-project-data 구글시트(생성검토 중) 모집단 데이터셋 표본 추출 표본 데이터셋 P3-1-data 구글시트 P3-2-data 구글시트 P3-3-data 구글시트 논문 [ REVIEW ] [ DATA ] [ DATA SCIENCE ] [ LEARNING ] 보드게임 전후 초등학생의 수학적 창의력 비교 Full Text […]
모든 집단의 평균이 같을 때, 모집단내 “집단간분산”과 “집단내분산”이 같은 이유는?
[ QA ] CONTENTS “집단내변동”만으로 두 분산이 정해지기 때문입니다. 모든 집단의 평균이 같다면 “집단간변동”은 없습니다. 분산분석(ANOVA)의 기본 개념 총변동($SS_T$)은 전체 데이터의 변동성을 나타내며, 집단간변동($SS_B$)과 집단내변동($SS_W$)의 합으로 표현됩니다. $$SS_T=SS_B+SS_W$$ $MS_B$은 집단간분산이며 집단평균의 변동입니다. 집단간변동과의 관계는 다음식으로 표현됩니다 $$MS_B = dfrac{SS_B}{text{집단간 자유도}}$$ $MS_W$은 집단내분산이며 각 집단내에서 데이터의 변동입니다. 집단내변동과의 관계는 다음식으로 표현됩니다. $$MS_W = dfrac{SS_W}{text{집단내 자유도}}$$ 등분산 […]
모집단에서 집단간분산과 집단내분산이 동일해지는 경우는?
CONTENTS 모집단내 각 집단의 모평균이 같을 때 입니다. 이 경우, 집단간분산과 집단내분산은 모집단의 분산을 추정합니다. 무한 모집단(population) 내 각 집단(group)의 크기도 무한대입니다. 모집단내 집단의 변동 모집단에서 무작위로 표본을 추출할 때, 그 표본이 충분히 크면, 즉, 표본의 크기가 무한대에 가까워지면, 그 표본은 모집단의 특성을 정확하게 반영합니다. 아찬가지로 모집단내 집단 간의 평균이 같을 때 집단간 변동의 차이는 […]
일원분산분석에서 F통계량, F검정통계량, F검정통계값의 관계는?

CONTENTS 귀무가설을 통해 , F통계량의 변수의 수를 줄여 F검정통계량을 구합니다. 여기서, 귀무가설은 알 지 못하는 모수에 대한 가설입니다. F검정통계량은 확률변수이며 정의된 확률분포함수로 표현합니다. 표본데이터를 통해, F검정통계량의 함수값인 F검정통계값을 구합니다. 일원분산분석에서 F통계량 일원분산분석에서의 F통계량을 함수로 보면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F(chi^2_B, df_B, chi^2_W, df_W) = dfrac{dfrac{chi^2_B}{df_B}}{dfrac{chi^2_W}{df_W}}= dfrac{dfrac{S_{B}^2}{sigma_{B}^2}}{dfrac{S_{W}^2}{sigma_{W}^2}}$$ 여기서, $chi^2_B$는 표본내 집단의 카이제곱: $chi^2_B=df_Bdfrac{S_B^2}{sigma_B^2}$ $chi^2_W$는 표본내 […]
데이터사이언스 용어 – Wikipedia
TERM 데이터 용어 확률 용어 통계 용어 데이터사이언스 용어 – Wikipedia 데이터 데이터는 질적 또는 양적 변수값의 집합입니다. 데이터와 정보 또는 지식은 종종 같은 의미로 사용하지만 데이터를 분석하면 정보가 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연구의 결과물로 얻어집니다. 한편, 데이터는 경제(매출, 수익, 주가 등), 정부(예 : 범죄율, 실업률, 문맹율)와 비정부기구(예 : 노숙자 인구 조사)등 다양한 분야에서도 […]
t통계량, t검정통계량, t검정통계값의 관계는?

CONTENTS 귀무가설을 통해 , t통계량의 변수의 수를 줄여 t검정통계량을 구합니다. 여기서, 귀무가설은 알 지 못하는 모수에 대한 가설입니다. t검정통계량은 확률변수이며 정의된 확률분포함수로 표현합니다. 표본데이터를 통해, t검정통계량의 함수값인 t검정통계값을 구합니다. t통계량, t검정통계량, t검정통계값의 관계 t통계량을 함수로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t(bar{X}, mu, s, n) = dfrac{bar{X} – mu}{dfrac{s}{sqrt{n}}}$$ 여기서, $t$는 t통계량 $nu$는 자유도: $nu=n-1$ $n$은 표본크기 $Gamma(,,,)$는 […]
표본통계량의 표집분포
Animation Figure 데이터종류 데이터 수집 데이터 종류 데이터종류 데이터 수집 데이터 종류 [Q&A] 스프레드시트에서 정리한 정형데이터에서 데이터를 속성에 따라 분류하면 범주형데이터, 순서있는 범주형데이터, 이산형데이터, 연속형데이터 이 중에서 이산형데이터와 연속형데이터는 수치로 나타나는 양적데이터입니다. 범주형데이터, 순서있는 범주형데이터, 이산형데이터, 연속형데이터 이 중에서 이산형데이터와 연속형데이터는 수치로 나타나는 양적데이터입니다. 데이터 프레임 데이터 프레임은 열과 행으로 구성된 테이블 형태의 데이터 구조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