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 SCIENCE : 27
DATA SCIENCE eISSN

CODE – 비모수 가설검정

CODE _ 비모수 가설검정-001 (3)
CODE _ 비모수 가설검정-002 (1)
새확률변수의 통계량 (집단간분산)
표준오차 (집단내분산)
귀무가설 / 대립가설
검정통계량
검정통계량 분포
교차분석 카이제곱검정

집단 $r\times c$개: 교차점수

변동: 분포

$$\sum\limits_{\text{교차점}}(\text{결합확률}-\text{주변확률}_1 \times \text{주변확률}_2)^2$$

$$\sum\limits_{\text{교차점}}(\text{주변확률}_1 \times \text{주변확률}_2)^2$$

$\chi_{obs}^2=0$

$\chi_{obs}^2=\sum\limits_{i=1}^{r}\sum\limits_{j=1}^{c}\dfrac{(O_{ij}-E_{ij})^2}{E_{ij}}$

$\chi^2_{(r-1)(c -1)}$

여기서, $r$은 한 범주형 변수의 변수값의 수

$c$은 다른 범주형 변수의 변수값의 수

$(r-1)(c-1)$은 자유도

연관분석 카이제곱검정

집단 $r\times c$개: 교차점수

변동: 분포

$$\sum\limits_{\text{교차점}}(\text{결합확률}-\text{주변확률}_1 \times \text{주변확률}_2)^2$$

$$\sum\limits_{\text{교차점}}(\text{주변확률}_1 \times \text{주변확률}_2)^2$$

$\chi_{obs}^2=0$

$\chi_{obs}^2=\sum\limits_{i=1}^{r}\sum\limits_{j=1}^{c}\dfrac{(O_{ij}-E_{ij})^2}{E_{ij}}$

$\chi^2_{(r-1)(c -1)}$

여기서, $r$은 한 범주형 변수의 변수값의 수

$c$은 다른 범주형 변수의 변수값의 수

$(r-1)(c-1)$은 자유도